Surprise Me!

[NocutView] 서울대-고대-이대 친일파 동상, 무엇을 기념하는가

2019-11-04 1 Dailymotion

한국외대 학교법인 동원육성회는 지난해 8월 경기 용인 글로벌 캠퍼스에 김흥배의 동상을 설치했다.<br /><br />1954년 한국외대를 설립한 그는 의류제조회사를 운영하며 일본군에 군복을 납품하고 일제의 전쟁 지원 단체인 국민총력 경성부연맹 이사직을 역임해 친일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. <br /><br />이화여대의 경우 본관 앞에 초대 총장이자 여성 교육의 선구자인 김활란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. <br /><br />일제 강점기 창씨개명 이후 ‘열혈남아이거든 이때를 놓치지 말라’, ‘남자에 지지 않게 황국여성으로서 사명을 완수(하라)’ 등의 글을 쓰고 강연을 하며 일제 학도병과 징용, 위안부 참여를 독려했다. <br /><br />고려대 본관 앞에 동상으로 서 있는 김성수 역시 징병과 학병을 찬양‧선동하는 글을 지속적으로 기고했고, 연세대 내 동상으로 만들어진 백낙준은 친일단체인 ‘조선임전대책협의회’를 결성하고 미영타도 좌담회에 참석했다.<br /><br />서울대에 흉상으로 남겨진 현제명은 친일 어용단체인 조선음악가협회를 결성하고 징병제 축하음악회에서 ‘대일본의 가(歌)’를 불렀다. <br /><br />3‧1절 95주년인 1일 민족문제연구소에 따르면, 친일 인물이 기념물로 들어선 대학들은 모두 20여 곳. <br /><br />때마다 상아탑 내 친일 흔적이 도마 위에 오르지만 오히려 해당 인물들을 비호하는 목소리는 작지 않다.

Buy Now on CodeCanyon